Web2-Web3 Bridging

Clutch 월렛에서는 모빌리티 유저들의 Web3 진입 장벽이 사라집니다.

블록체인 지갑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가입 절차부터 개인 키 분실 위험에 대한 경고, Seed Phrase를 저장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며, 이는 Web3의 큰 진입장벽입니다.

Clutch 월렛은 유저의 Web3 진입 전 충분한 적응 기간을 제공하기 위해 단계적 로그인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진입 장벽을 최소화합니다.

  1. 비로그인 단계

    모빌리티 유저가 Clutch를 처음으로 다운받았을 때, 별도 서비스 가입 없이도 주요 콘텐츠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2. 소셜 로그인 단계

    유저가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획득한 인센티브 수령을 원하거나, Clutch에서의 다양한 미션 참여 등을 위해 가입을 원한다면, 원클릭 소셜 로그인 절차만 진행하면 됩니다. 특히,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동남아 모빌리티 유저들에게 친숙한 방식을 제공하여 진입 장벽을 낮췄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포인트를 MVL Point로 스왑하는 기능까지 활성화됩니다.

  3. 블록체인 지갑 생성, 이용 단계

    유저는 클러치에서의 활동을 통해 Web3와 보다 친숙해진 상태가 될 것입니다. 이때 유저가 축적했던 MVL Point를 실제 MVL Token으로 교환하기를 원한다면, 이 단계에서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면 됩니다. Seed Phrase 기록, Private Key 관리 등의 Web3 계정 생성 과정은 신규 유저들에게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시간적 여유, 인터넷 상태, 주변 지인의 도움 등을 고려해 언제든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Web2 모빌리티의 포인트 재화 등을 Web3 Crypto Asset으로 교환 가능합니다.

대다수 Web2 모빌리티 서비스들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운영할 때 자체적인 포인트 재화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포인트 재화는 서비스 내에서 현금에 준하는 안정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Clutch 월렛에서는 이러한 Web2 모빌리티 서비스의 Web3 진입을 위한 Point to Token 스왑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유저가 보유한 모빌리티 포인트는 Clutch 월렛에서 MVL Point로 교환되고, 이는 언제든 실제 MVL Token으로 변환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때의 교환 과정에서 모빌리티 서비스와 MVL Foundation 간 주기적인 정산이 이루어지므로, 이는 사실상 MVL 바이백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유저는 Clutch Wallet과 모빌리티 서비스의 계정을 최초 1번만 연결해서 두면됩니다. 이후에는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획득한 각종 미션 보상을 Clutch 지갑에서 언제든지 MVL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획기적인 UI/UX 개선으로 블록체인 대중화(Mass Adoption)에 기여합니다.

블록체인의 핵심인 보안성은 유지하고 유저의 시드 프레이즈 등 개인키 보관에 대한 염려는 덜어드리고자, 개인 키를 분산 관리하는 솔루션을 도입하였습니다. 즉, 유저의 개인 키 조각이 유저, MVL, 3rd Party의 3개 주체에 분산 저장되며 이 중 2개가 유저의 소셜 로그인 계정과 매칭이 되면 복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저로서는 본인의 개인 키를 분실에 대한 염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여러 네트워크의 다양한 토큰 자산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웰렛 UI를 개선하였습니다. 앞으로 클러치 월렛에서는 다양한 미션이 이뤄질 것이며, 이를 통해 3rd Party Token 등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자산을 네트워크 선택 없이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편의성을 개선하였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온체인 활동도 Clutch를 통해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Dapp. 브라우징 기능을 통한 Web3 홈페이지로의 연결, 보유한 토큰의 다른 재화로 온체인 스왑(Trade), MVL에서 제공하는 각종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Staking) 참여 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Clutch에서는 MVL Token 홀더들을 위한 다양한 온체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