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on page
LP Staking (Farms)
AMM DEX에 두 토큰 쌍을 예치하여 토큰 간 거래를 위한 충분한 유동성 풀을 구성하는 것을 유동성 공급(Liquidity Providing)이라고 합니다.
DEX에서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예치의 증표로 LP Token을 지급합니다.
LP Token을 보유한 사람들, 즉 유동성 공급 참여자들은, 해당 풀에서의 거래가 발생하면 일정량의 수수료를 얻을 수도 있으나, 토큰의 가격 변화에 따라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충분한 유동성 공급은, 온체인 상에서 MVL(ERC 20), bMVL(BEP 20) 토큰의 활발한 운영이 중요한 MVL Incentive Protocol의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따라서 유동성 공급에 참여하시는 분들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LP Staking의 개념입니다.
보다 상세한 개념은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Binance와 Upbit 등 중앙화거래소(CEX)와는 대비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블록체인 상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된 토큰 거래소(DEX)입니다.
DEX에는 크게 오더북(호가창) 방식의 DEX와 AMM 방식의 DEX 두 종류가 있습니다. 오더북 DEX에는 대표적으로 dYdX가 있고 AMM DEX에는 Uniswap, Sushiswap, Pancakeswap, Biswap 등이 있습니다.
이 중 Clutch Wallet에서 거래를 위해 활용하는 방식은 AMM DEX를 말하며, 유동성 공급을 위해 BNB Chain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Biswap DEX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호가창의 매수, 매도 주문에 의해 거래가 체결되는 오더북 방식과는 달리, 사전에 구성된 유동성 풀을 통해 AMM과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 이는 사전에 두 종류의 토큰 자산을 쌍으로 컨트랙트에 예치(유동성 공급)시켜 놓고, 해당 유동성 풀에 한쪽 토큰을 넣으면 반대쪽 토큰이 빠져나오는 식으로 작동하는 알고리즘입니다
AMM의 가장 기본적이고 대중화된 형태인 CPMM(Constant-Product Market Maker) AMM에서는 컨트랙트에 예치된 두 토큰 수량의 곱이 일정하게 만드는 형태로 작동합니다.
X*Y=k (X,Y는 토큰의 수,k는 상수)
- MVL의 예를 들면, 현재 Biswap DEX에 BNB-bMVL 토큰 페어로 구성된 유동성 풀이 제공되어 있으며, Clutch Wallet에서는 해당 풀을 활용해 BNB Coin을 보내고 bMVL token을 받는 등의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AMM 방식은, 토큰의 거래 볼륨이나 유동성 풀의 규모와 관계없이 항상 유동성을 제공하며 즉시 거래가 체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도 있습니다.
- 거래 규모에 따른 손실 (Price Impact)유동성 풀의 규모가 작은 경우 거래시 Price Impact(Slippage) 발생 → 시장 참여자에 충분한 유동성 공급을 유도하여 해결 가능
- 유동성 공급자의 비영구적 손실 (Imperment Loss)유동성 풀을 구성하는 토큰 가격이 변하면 토큰 수량의 손실 발생 가능 → 유동성 공급자에 수수료에 더하여 추가 보상을 제공하여 해결 가능
MVL 팀이 구현하려는 Mobility Incentive Protocol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MVL 홀더분들의 유동성 공급 참여가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LP Staking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AMM DEX에서 두 토큰을 스왑하면 시장가와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것을 가격 임팩트(Price Impact) 또는 슬리피지(Slippage)라고 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AMM의 거래는 컨트랙트에 예치된 두 토큰 수량의 곱을 항상 일정하게 만드는 형태로 작동합니다.
X*Y=k (X,Y는 토큰의 수,k는 상수)
하지만 이 공식에 따르면 거래를 했을 때 시장가격과의 차이가 발생해 일정량의 손실을 입게 됩니다.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이 2,000 USDT라고 가정하고 다음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 ETH 수량 | USDT 수량 | ETH x USDT = k | 체결가 | Price Impact |
---|---|---|---|---|---|
기존 상태 | 10 | 20,000 | 200,000 | - | - |
1 ETH 매도 | 11 | 18,181.8 | 200,000 | 1,818.2 USDT | 181.8 |
1 ETH 매수 | 9 | 22,222.2 | 200,000 | 2,222.2 USDT | 222.2 |
위 예시에서 1 ETH를 매도하면, AMM에서는 풀에 1ETH를 넣고 이에 대응하는 USDT를 꺼내게 되고, 1 ETH를 매수하면 USDT를 넣고 ETH를 꺼내오게 됩니다.
이때 ETH 수량과 USDT 수량의 곱은 200,000으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하지만 실제 체결가는 이더리움 가격인 2,000 USDT와 차이가 납니다. ETH 매도의 경우 181.8 USDT 만큼을 덜 받게 되고, ETH 매수의 경우 222.2 USDT 만큼 비싸게 사게 됩니다.
이처럼 AMM 알고리즘으로 인해 토큰 거래자에게 발생하는 손실이 Price Impact입니다.
온체인에서의 충분한 거래 볼륨을 소화할 수 있으려면 충분한 유동성 공급이 중요합니다.
AMM DEX 상 유동성 풀에 사전 예치된 토큰의 양이 많을수록, 동일한 수량의 토큰을 거래할 때의 Price Impact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토큰을 거래하기가 더 쉬워지고 한번에 많은 양의 토큰을 거래하더라도 토큰의 가격 변동성이 줄어듭니다.
이에 따라 여러 프로젝트에서는 참여자들이 더 많은 토큰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LP Staking입니다.
AMM DEX의 유동성 풀에 토큰 유동성을 공급(Add Liquidity)하면, 그 증표로 특정 수량의 LP 토큰을 받게 됩니다.
LP 토큰은 특정 유동성 풀에 토큰을 공급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일종의 증표입니다.
LP 토큰을 보유한 사람들은, 이를 분해하여 유동성 풀에 예치된 토큰을 언제든지 회수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그 동안 해당 유동성 풀을 통해 얻어진 수수료 또한 함께 회수할 수 있습니다.
DEX에 LP로 유동성을 공급할 때, 일반적으로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합니다.
비영구적 손실이란, 토큰 가격의 변동이 발생할 때, 두 토큰을 LP로 묶었을 경우와 단일 토큰으로 단순히 보관하는 경우 간의 자산 가치의 차이를 말합니다.
- 비영구적 손실은 두 자산간의 상대 가치의 변화가 클 수록 크게 발생합니다.
- 상대 가치가 동일한 비율로 상승, 하락하는 경우 비영구적인 손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비영구적 손실 개념에 대한 세부 설명은 아래의 문서를 참고해 주십시오
여러 참여자들의 유동성 공급은 MVL의 Web3 프로젝트 운용에 있어 반드시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동성 공급자에게 비영구적 손실 이상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LP Staking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LP Staking이란, 유동성 공급자가 유동성 공급의 증표인 LP토큰을 LP Staking 컨트랙트에 예치했을 경우, 예치량과 예치 기간에 비례하여 보상을 주는 것을 의미 합니다.
MVL Incentive Protocol이 정식으로 런칭되면, TADA 등 다른 Web2 서비스에서 특정 미션을 달성한 유저는 MVL을 보상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지급된 MVL은 Clutch Wallet에서 실제 bMVL 토큰으로 언제든지 교환할 수 있습니다. 그 후 유저는 Clutch Wallet에서 bMVL 토큰을 보관,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bMVL 토큰을 거래할 수도 있습니다.
Clutch Wallet에서의 bMVL 토큰 거래는 BNB Blockchain Network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때 거래의 유동성 공급은 Biswap DEX의 BNB-bMVL 유동성 풀(Liquidity Pool)을 활용해 진행됩니다.
앞으로 bMVL 토큰의 안정적 교환, 거래를 위한 토큰 간 충분한 유동성 공급이 필요합니다. 많은 홀더분들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MVL Bridge에서는 BNB-bMVL LP Staking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MVL 팀이 준비중인 BNB-bMVL LP Staking의 경우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 유동성 공급 단계Biswap DEX의 BNB-bMVL 쌍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BNB-bMVL LP 토큰을 수령합니다.
- LP Staking 단계MVLBridge의 Farm에 BNB-bMVL LP토큰을 예치하고 예치 수량과 기간에 따라 보상으로 bMVL를 지급받습니다.
Clutch Wallet에서의 MVL 토큰 거래는 ETH Blockchain Network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때 거래의 유동성 공급은 Uniswap DEX의 ETH-MVL 유동성 풀(Liquidity Pool)을 활용해 진행됩니다.
앞으로 MVL 토큰의 안정적 교환, 거래를 위한 토큰 간 충분한 유동성 공급이 필요합니다. 많은 홀더분들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MVL Bridge에서는 ETH-MVL LP Staking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MVL 팀이 준비중인 ETH-MVL LP Staking의 경우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 유동성 공급 단계Uniswap DEX의 ETH-MVL 쌍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ETH-MVL LP 토큰을 수령합니다.
- LP Staking 단계MVLBridge의 Farms에 ETH-MVL LP토큰을 예치하고 예치 수량과 기간에 따라 보상으로 MVL를 지급받습니다.
BNB-bMVL LP Token Address
ETH-MVL LP Token Address
BNB-bMVL LP Token (Add Liquidity)
- Add Liquidity on MVL Bridge
- Add Liquidity on Biswap
ETH-MVL LP Token (Add Liquidity)
- Add Liquidity on MVL Bridge
- Add Liquidity on Uniswap
BNB-bMVL Liquidity Pool 모니터링
- Dex.guru
ETH-MVL Liquidity Pool 모니터링
- Dex.guru
- Etherscan
BNB-bMVL LP Staking
- LP Staking on MVL Bridge
- LP Staking Contract
ETH-MVL LP Staking
- LP Staking on MVL Bridge
- 2nd LP Staking Contract(23.11.24~)
- 1st LP Staking Contract(23.02.22~11.22)
Last modified 5d ago